테너 색소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너 색소폰은 벨기에의 악기 제작자 아돌프 삭스가 1846년에 개발한 악기이다. 군악대의 목관악기와 금관악기 사이의 음색적 간극을 메우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B♭으로 조율된 색소폰 족 중 네 번째 구성원이다. 테너 색소폰은 구리로 만들어진 원추형 튜브에 싱글 리드 마우스피스와 20~23개의 톤 홀을 갖춘 구조로, 다양한 연주 기법을 통해 독특한 음색을 낸다. 군악대, 클래식 음악, 재즈, 대중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되며, 콜먼 호킨스, 존 콜트레인, 스탠 게츠 등 많은 저명한 연주자들이 이 악기를 통해 명성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테너 색소폰 | |
---|---|
악기 정보 | |
이름 | 테너 색소폰 |
종류 | 색소폰 |
조율 | B조 (내림나조) |
음역 | B (실제 음) - E'' (실제 음), altissimo 연주 시 더 높은 음 가능 |
음역 (표기) | B - F''' (대부분의 악기), 더 높게 연주 가능 (altissimo 주법 사용) |
![]() | |
음역 (악보) | 테너 색소폰은 B조로, 기보된 음보다 장2도 아래의 8도 낮은 음으로 소리낸다. 대부분의 악기는 높은 F 또는 그 이상에 도달할 수 있으며, altissimo 지문을 사용한다. |
2. 역사
테너 색소폰은 1846년 벨기에의 악기 제작자 아돌프 삭스가 발명한 색소폰 악기군의 일원이다.[6] 삭스는 당시 군악대에서 부족하다고 느꼈던 목관악기와 금관악기 사이의 음색적 연결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악기를 고안했으며, 이는 클라리넷, 플루트, 오보에, 오피클레이드 등 기존 악기들의 특징을 결합한 결과물이었다. 삭스가 고안한 색소폰 악기군은 여러 크기와 조성을 가졌으며, 그중 테너 색소폰은 군악대의 다른 악기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B♭ 조로 설계되었다. 삭스는 1846년에 색소폰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으며[6], 그의 특허가 만료된 1866년 이후[7] 여러 제작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개량되었다.
2. 1. 아돌프 삭스의 발명

테너 색소폰은 1846년 벨기에 출신의 악기 제작자이자 플루트 연주자, 클라리넷 연주자인 아돌프 삭스(Adolphe Sax)가 설계하고 개발한 악기군 중 하나이다.[6] 디낭에서 태어나 브뤼셀에서 활동하던 삭스는 1842년 파리로 이주하여 악기 사업을 시작했다.
삭스는 당시 군악대에서 목관악기와 금관악기 사이의 음색적 연결이 부족하다고 여겨 이를 보완할 새로운 악기를 구상했다. 그는 클라리넷, 플루트, 오보에, 그리고 오피클레이드(키 장치를 가진 원추형 저음 금관악기) 등 기존 악기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었다. 특히 색소폰을 발명하기 전에 바순 클라리넷의 키 장치와 음향을 개선하고 저음역을 확장했던 경험은 색소폰 개발에 필요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삭스는 금관악기의 강력한 소리 전달력(프로젝션)과 목관악기의 빠른 연주(민첩성)를 겸비한 악기를 목표로 했다. 또한, 클라리넷이 12도 간격으로 오버블로잉하는 것과 달리, 옥타브 간격으로 오버블로잉하여 두 음역에서 동일한 운지법을 사용할 수 있는 악기를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는 싱글 리드 마우스피스와 원추형 황동 몸체를 가진 악기를 설계했다.
1840년대 초 여러 크기의 색소폰을 제작한 삭스는 1846년 1월 28일, 15년 기한의 특허를 취득했다.[6] 이 특허는 소프라니노부터 콘트라베이스까지 이르는 14가지 기본 설계를 포함했으며, 악기들은 각각 7개의 악기로 구성된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한 그룹은 군악대에서 주로 사용되던 다른 악기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B♭과 E♭ 조로 만들어졌고, 다른 그룹은 F와 C 조로 구성되었다. 테너 색소폰은 B♭과 E♭ 그룹에 속하며 B♭ 조성을 가진 네 번째 악기이다. 초기 색소폰의 표기 음역은 낮은 음자리표 아래 B부터 높은 음자리표 위 세 번째 덧줄의 E♭까지로, 약 2.5 옥타브에 해당했다.
삭스의 특허는 1866년에 만료되었으며[7], 이후 많은 악기 제작자들이 색소폰의 설계와 키 시스템에 다양한 개량을 더했다.
2. 2. 초기 발전과 개량
테너 색소폰은 1846년 아돌프 삭스가 설계하고 특허를 받은 14가지 색소폰 중 하나이다.[6] 벨기에 디낭 출신인 삭스는 원래 브뤼셀에서 활동하다가 1842년 악기 사업을 위해 파리로 이주했다. 색소폰을 만들기 전, 그는 바순 클라리넷의 키 시스템과 음향을 개선하고 저음역을 확장하는 등 여러 악기를 개량한 경험이 있었다.
색소폰의 기본 아이디어는 클라리넷, 플루트, 오보에, 그리고 오피클레이드(목관 악기와 유사한 키를 가진 저음 원추형 금관 악기)의 특징을 혼합하는 것이었으며, 특히 오피클레이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삭스는 이러한 악기들을 다루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색소폰 제작에 필요한 기술을 발전시켰다. 그는 금관 악기의 힘찬 소리(프로젝션)와 목관 악기의 민첩성을 모두 갖춘 새로운 악기를 만들고자 했다. 이는 군악대 연주에서 목관 악기와 금관 악기 사이의 음색 연결이 부족하다는 점을 인식한 데서 비롯되었다. 또한, 클라리넷이 12도 간격으로 오버블로잉하는 것과 달리, 한 옥타브 간격으로 오버블로잉하여 두 음역에서 동일한 운지법을 사용할 수 있는 악기를 구상했다.
삭스는 싱글 리드를 사용하는 마우스피스와 원추형의 황동 몸체를 가진 악기를 설계했다. 1840년대 초 여러 크기의 색소폰을 제작했으며, 1846년 1월 28일 이 악기들에 대해 15년 기한의 특허를 취득했다.[6] 이 특허는 소프라니노부터 콘트라베이스에 이르는 14가지 기본 형태(각각 7종씩 두 개의 카테고리)를 포함했다. 삭스가 F조와 C조 악기도 소량 생산했지만, E♭조와 B♭조 악기가 곧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초기에 모든 색소폰은 높은음자리표 오선 아래 B음부터 오선 위 세 번째 덧줄 바로 아래 E♭음까지, 총 2옥타브 반의 음역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테너 색소폰은 이 중 B♭조 악기로, 색소폰족 중 네 번째로 높은 음을 낸다.
삭스의 특허는 1866년에 만료되었고[7], 이후 여러 악기 제작자들이 색소폰의 설계와 키 시스템에 다양한 개량을 더하며 악기를 발전시켜 나갔다.
3. 구조
테너 색소폰은 다른 색소폰과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의 원추형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의 넓은 쪽 끝은 벨 형태로 약간 벌어져 있으며, 좁은 쪽 끝에는 마우스피스가 연결된다. 악기의 소리를 조절하기 위한 여러 개의 톤 홀과 키, 그리고 특유의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악기의 구체적인 구성 요소와 각 부분의 기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3. 1. 구성 요소
모든 색소폰과 마찬가지로 테너 색소폰은 얇은 금속인 구리로 만들어진 원추형 튜브로 구성된다. 튜브의 넓은 끝은 약간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져 벨을 형성하며, 좁은 끝은 클라리넷과 유사한 싱글 리드 마우스피스에 연결된다. 관 중간에는 20개에서 23개의 톤 홀이 있으며, 이 톤 홀은 패드로 덮여 공기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구멍에 눌러질 수 있다. 또한 악기의 낮은 배음을 방해하고 오버블로잉을 통해 고음역 소리를 내도록 돕는 두 개의 작은 스피커 홀이 있다. 패드는 왼손과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여러 키를 눌러 제어하며, 왼손 엄지손가락은 스피커 홀 중 하나를 열어주는 옥타브 키를 제어한다. 테너 색소폰의 원래 디자인은 바순처럼 각 스피커 홀마다 별도의 옥타브 키가 있었다. 왼손 운지에 따라 올바른 스피커 홀이 선택되는 메커니즘은 삭스의 특허가 1866년에 만료된 직후 개발되었다.소수의 특이한 테너 색소폰이 색소폰 계열의 작은 악기처럼 '일자형'으로 제작되기도 했지만, 일자형 구성은 다루기 힘든 길이 때문에 거의 모든 테너 색소폰은 특징적인 'U자형 벤드'를 가지고 있다. 이 벤드는 세 번째로 낮은 톤 홀 위에 위치한다. 테너 색소폰은 또한 가장 높은 톤 홀 위, 가장 높은 스피커 홀 아래에서도 구부러져 있다. 알토 색소폰은 마우스피스를 입에 더 쉽게 맞추기 위해 일반적으로 80–90°만 구부러지는 반면, 테너 색소폰은 이 부분에서 약간 더 많이 구부러져 약간의 S자형 벤드를 형성한다.
테너 색소폰의 마우스피스는 클라리넷의 것과 매우 유사한데, 한 면이 열려 있으며 연주 시에는 거대한 갈대 줄기(아룬도 도낙스)로 만든 얇은 조각인 리드로 덮인다. 리드는 매우 얇게 깎여 있으며 리게이쳐를 사용하여 마우스피스에 고정된다. 마우스피스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으면 리드가 진동하여 악기에서 소리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음향 공명을 만든다. 마우스피스는 색소폰에서 모양과 스타일의 유연성이 가장 큰 부분이며, 악기의 음색은 주로 마우스피스의 치수에 의해 결정된다.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디자인은 색소폰 소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클래식 마우스피스는 일반적으로 더 따뜻하고 둥근 음색을, 재즈 마우스피스는 더 밝고 날카로운 음색을 내는 데 도움이 된다. 마우스피스 제작에는 플라스틱, 에보나이트 및 다양한 금속(청동, 황동, 스테인리스강 등)이 사용된다.
테너 색소폰의 마우스피스는 알토 색소폰의 마우스피스보다 비례적으로 더 크며, 더 큰 리드가 필요하다. 리드의 강성이 높고 악기 몸체에서 공명을 일으키기 위해 더 많은 기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테너 색소폰 연주자는 색소폰 계열의 고음 악기 연주자보다 더 강한 폐활량과 더 느슨한 앙부슈르가 요구된다. 테너 색소폰 리드는 베이스 클라리넷에 사용되는 리드와 크기가 비슷하여 서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래는 위 그림에 표시된 색소폰 각 부의 명칭이다.
번호 | 명칭 | 번호 | 명칭 | 번호 | 명칭 | 번호 | 명칭 |
---|---|---|---|---|---|---|---|
1 | 벨 | 12 | 고리 | 23 | 키 기둥 | 34 | 센터 봉 |
2 | 1번관 | 13 | 손가락 걸이 | 24 | 심금 | 35 | 검 나사 |
3 | 2번관 | 14 | 엄지 받침 | 25 | 롤러 | 36 | 링 |
4 | 넥 | 15 | 나비 나사 | 26 | 롤러용 심금 | 37 | 코르크 |
5 | 마우스피스 | 16 | 나비 나사 받침 | 27 | 평형 스프링 | 38 | 코르크 홀더 |
6 | 동륜 | 17 | 톤홀 컵 | 28 | 평형 스프링 고정 나사 | 39 | 리드 |
7 | 키 홀 관 | 18 | 패드 | 29 | 절구 | 40 | 리가처 |
8 | 타흔 멈춤 | 19 | 쉘 컵 | 30 | 강철 바늘 | 41 | 쌍기둥 |
9 | 좌주 | 20 | 쉘 | 31 | 케리 | 42 | 컵 |
10 | 키 커버 | 21 | 키 | 32 | 비둘기 눈 | 43 | 멜빵(스트랩) |
11 | 마우스피스 리시버 코르크 | 22 | 키 관 | 33 | 연결봉 |
3. 2. 마우스피스와 리드
테너 색소폰의 마우스피스는 클라리넷의 마우스피스와 매우 유사하다. 한쪽 면이 열려 있으며, 연주 시에는 '리드'라고 불리는 얇은 재료 조각으로 덮는다. 리드는 리게이쳐를 사용하여 마우스피스에 고정된다. 마우스피스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리드가 진동하여 악기 소리를 내는 데 필요한 음향 공명을 만들어낸다.
마우스피스는 색소폰에서 모양과 스타일의 유연성이 가장 큰 부분으로, 악기의 음색은 주로 마우스피스의 치수에 의해 결정된다.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디자인은 색소폰 소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클래식 마우스피스는 더 따뜻하고 둥근 음색을 내는 데 도움을 주며, 재즈 마우스피스는 더 밝고 날카로운 음색을 내는 데 유리하다. 마우스피스를 만드는 재료로는 플라스틱, 에보나이트를 비롯해 청동, 황동,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다양한 금속이 사용된다.
리드는 주로 거대한 갈대 줄기인 ''아룬도 도낙스''(''Arundo donaxlat'')를 얇게 깎아 만든다. 테너 색소폰의 마우스피스는 알토 색소폰의 마우스피스보다 크며, 마찬가지로 더 큰 리드를 사용한다. 리드의 강성(딱딱함)이 높고, 악기의 큰 몸체에서 공명을 일으키기 위해 더 많은 공기 흐름이 필요하므로, 테너 색소폰을 연주하려면 알토 색소폰과 같은 고음역 악기보다 더 강한 폐활량과 상대적으로 느슨한 앙부쉬어(입 모양)가 요구된다. 테너 색소폰 리드는 베이스 클라리넷에 사용되는 리드와 크기가 비슷하여 서로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4. 특징
테너 색소폰은 다른 색소폰과 마찬가지로 얇은 황동으로 만들어진 원추형 관으로 구성된다. 관의 끝은 나팔꽃처럼 넓어지며 벨(bell) 형태를 이룬다. 입에 가까운 좁은 끝에는 클라리넷과 비슷한 마우스피스가 연결되며, 여기에는 하나의 리드가 부착된다. 악기 본체에는 20개에서 23개의 음공(tone hole)이 있으며, 이 구멍들은 패드(pad)로 덮여 있다. 연주자는 키(key)를 조작하여 패드를 열고 닫아 음정을 조절하며, 왼손 엄지로는 옥타브 키를 조작하여 한 옥타브 높은 음을 낸다.
초기 디자인과 달리 현대의 테너 색소폰은 파곳처럼 왼손 운지에 따라 적절한 옥타브 벤트(스피커 홀)가 자동으로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다. 이는 1866년 아돌프 색스의 특허 이후 발전된 방식이다. 대부분의 색소폰은 다루기 쉬운 길이를 위해 관이 U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지만, 테너 색소폰은 알토 색소폰보다 길기 때문에 마우스피스로 이어지는 넥(neck) 부분이 S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우스피스에는 아룬도 도낙스라는 식물 줄기로 만든 얇은 리드를 리게이쳐로 고정한다. 연주자가 마우스피스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리드가 진동하고, 이 진동이 관 내부의 공기를 통해 음향 공명을 일으켜 소리가 발생한다. 마우스피스의 내부 디자인과 리드는 색소폰의 음색에 큰 영향을 미친다. 테너 색소폰은 알토 색소폰보다 마우스피스와 리드가 커서 더 많은 호흡량이 필요하며, 앙부쉬어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4. 1. 음색 및 음역
테너 색소폰의 음색은 주로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마우스피스는 그 재질과 내부 구조에 따라 음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재질로는 플라스틱, 에보나이트나 청동, 황동,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다양한 금속이 사용된다. 마우스피스의 디자인은 연주 장르에 따라서도 선택이 달라지는데, 클래식 음악 연주자들은 보통 따뜻하고 둥근 소리를 내는 마우스피스를 선호하는 반면, 재즈 연주자들은 밝고 날카로운 음색을 내는 마우스피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리드는 일반적으로 아룬도 도낙스라는 갈대 줄기로 만들어지며, 리게이쳐를 사용해 마우스피스에 고정된다. 리드의 두께와 깎인 모양은 마우스피스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을 때 진동하며 음향 공명을 일으키고, 이는 색소폰 소리의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테너 색소폰은 알토 색소폰보다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크기가 비례적으로 더 크다. 이 때문에 알토 색소폰보다 더 많은 폐활량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 느슨한 앙부쉬어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테너 색소폰 특유의 풍성하고 중후한 음색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옥타브 키와 오버블로잉 같은 연주 기법을 통해 낮은 배음부터 고음역까지 넓은 음역을 표현할 수 있다. 테너 색소폰의 리드는 베이스 클라리넷의 리드와 크기가 비슷하여 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4. 2. 연주 기법
테너 색소폰 연주는 다른 색소폰과 기본적인 원리를 공유하지만, 악기의 크기와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특히 알토 색소폰과 비교했을 때,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크기, 요구되는 호흡량, 앙부쉬어 등에서 특징적인 면모를 나타낸다.테너 색소폰의 마우스피스는 알토 색소폰의 것보다 비례적으로 더 크며, 이에 따라 더 큰 리드를 사용한다. 리드의 강성이 높고 악기 전체를 공명시키기 위해 더 많은 공기를 불어넣어야 하므로, 연주자는 알토 색소폰과 같은 고음역 악기 연주 시보다 더 강력한 폐활량을 필요로 한다. 또한, 안정적인 소리를 내기 위해 상대적으로 더 느슨한 앙부쉬어(악기를 불 때 입술과 주변 근육의 모양)를 유지해야 한다. 이는 테너 색소폰 특유의 깊고 풍성한 음색을 만드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테너 색소폰 리드는 베이스 클라리넷 리드와 크기가 비슷하여 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운지법은 다른 색소폰과 마찬가지로 양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키(key)를 조작하는 방식이다. 악기 몸체에 있는 20개에서 23개의 톤 홀을 패드로 막거나 열어 음정을 조절하며, 왼손 엄지로는 옥타브 키를 조작하여 한 옥타브 높은 소리를 낸다. 초기 디자인과 달리 현대의 테너 색소폰은 왼손 운지에 따라 적절한 스피커 홀(옥타브 벤트)이 자동으로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어 연주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5. 용도
테너 색소폰은 그 특유의 음색과 표현력으로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초기에는 군악대에서 목관악기와 금관악기 사이의 음향적 간극을 메우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자리를 잡았다. 오늘날에도 군악대 편성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클래식 음악 영역에서도 테너 색소폰은 관악대나 색소폰 4중주의 표준 악기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작품에서도 독특한 음색을 더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작곡가들은 테너 색소폰을 위한 독주곡이나 협주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대중에게 테너 색소폰이 가장 친숙하게 알려진 계기는 재즈 음악을 통해서이다. 1930년대 콜먼 호킨스와 같은 선구적인 연주자들에 의해 테너 색소폰은 단순한 반주 악기를 넘어 매력적인 솔로 악기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기 시작했다. 이후 비밥, 쿨 재즈, 보사노바, 스무스 재즈 등 다양한 재즈 스타일의 발전과 함께 테너 색소폰은 재즈의 상징적인 악기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 외에도 테너 색소폰은 리듬 앤 블루스(R&B), 로큰롤, 현대 록과 같은 대중음악 장르에서도 흔히 사용되며, 라틴 음악, 아프로-카리브 음악, 아프리카 음악 등 월드 뮤직에서도 그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5. 1. 군악대
테너 색소폰은 아돌프 삭스가 군악대에서 목관악기와 금관악기 사이의 음색적 연결을 위해 고안한 악기군 중 하나이다. 삭스는 당시 군악대에 이러한 연결이 부족하다고 여겼다. 1846년 특허를 받은 악기군 중 B♭과 E♭ 조성을 가진 악기들은 군악대에서 흔히 사용되던 다른 악기들과 통합되도록 설계되었으며, B♭ 테너 색소폰은 이 중 하나이다.테너 색소폰은 처음 의도했던 역할대로 군악대에서 인기를 얻었다. 발명 직후 프랑스와 벨기에 군악대는 삭스가 군악대를 위해 특별히 설계한 이 악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현대 군악대는 일반적으로 E♭ 바리톤, B♭ 테너, E♭ 알토, B♭ 소프라노를 연주하는 색소폰 4중주 편성을 갖춘다. 반면, 영국 군악대는 관례적으로 테너와 알토 색소폰만을 사용하며, 각 악기에 두 명 이상의 연주자를 두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많은 군악대가 창설되면서 색소폰이 널리 보급되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 이후 군악대에서 사용되던 악기들이 민간에 퍼지면서 가스펠 음악이나 재즈 연주에 사용되기도 했다. 특히 밴드 리더 패트릭 길모어는 금관악기와 색소폰 등 리드악기를 대비시키는 편곡 방식을 선보였는데, 이는 이후 빅 밴드 편곡의 기준이 되는 형태로 자리 잡는 데 영향을 주었다.
5. 2. 클래식 음악
테너 색소폰은 클래식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관악대나 색소폰 4중주에서는 표준적인 악기로 포함되며, 독주 악기로서의 레퍼토리도 존재한다. 오케스트라에서도 테너 색소폰이 활용되는데, 대표적인 작품은 다음과 같다.-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는 발레 음악 "로미오와 줄리엣"과 모음곡 "키제 중위"에서 테너 색소폰을 사용했다.
- 모리스 라벨의 유명한 관현악곡 "볼레로"에도 테너 색소폰 파트가 포함되어 있다.
- 찰스 아이브스는 교향곡 4번에 테너 색소폰을 편성했다.
- 뱅상 댕디는 오페라 "페르발"에서 테너 색소폰을 활용했다.
- 루카스 포스의 교향곡 2번에도 테너 색소폰이 사용된다.
- 벨라 바르토크는 발레 "나무 왕자"에서 테너 색소폰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색소폰을 사용했다.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에보니 협주곡"에서 두 대의 테너 색소폰을 편성했다.
5. 3. 재즈
미국에서 색소폰이 널리 퍼지게 된 배경에는 미국 남북 전쟁 시기 활동했던 수많은 군악대가 있다. 전쟁 이후, 군악대에서 사용되던 악기들이 일반 대중에게 흘러 들어갔고, 이는 가스펠 음악이나 재즈 연주에 활용되었다. 특히 선구적인 밴드 리더 패트릭 길모어(1829–1892)는 금관악기(트럼펫, 트롬본, 코넷)와 리드악기(클라리넷, 색소폰)를 대비시키는 편곡 방식을 처음 시도했는데, 이는 이후 빅 밴드 편곡의 표준적인 형태로 자리 잡았다.테너 색소폰은 재즈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대중에게 가장 친숙한 악기가 되었다. 1930년대 콜먼 호킨스는 테너 색소폰을 단순히 앙상블의 무게감을 더하는 악기에서 벗어나, 그 자체로 매우 효과적인 멜로디 악기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의 등장은 테너 색소폰의 위상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많은 혁신적인 재즈 음악가들이 테너 색소폰을 통해 자신의 음악 세계를 펼쳐나갔다. 호킨스와 그를 따르는 연주자들의 강하고 풍성한 사운드는 레스터 영과 그의 학파가 보여준 가볍고 유연한 접근 방식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비밥 시대에는 우디 허먼 오케스트라의 '포 브라더스' 사운드가 재즈계 테너 색소폰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했다. 스탠 게츠는 1960년대에 테너 색소폰으로 브라질 보사노바를 연주하여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 외에도 존 콜트레인, 덱스터 고든, 소니 롤린스 등은 재즈 역사상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테너 색소폰 연주자들이다.

현대에 들어서도 테너 색소폰은 스무스 재즈 장르에서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커크 윌럼, 리처드 엘리엇, 스티브 콜, 제시 J 등이 대표적인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잼 밴드 음악계에서는 론 할로웨이와 칼 덴슨 같은 색소폰 연주자들이 테너 색소폰을 통해 활발한 연주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밴 모리슨은 테너 색소폰을 전문으로 하는 재즈 음악가이자 이웃이었던 조지 캐시디에게 음악 표기법과 테너 색소폰 레슨을 받으며 음악적 교류를 나누기도 했다.[2][3] 전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 역시 평생 테너 색소폰을 즐겨 연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통령 재임 중에는 특별히 제작된 색소폰을 선물 받기도 했다.[4]
미국 재즈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테너 색소폰은 다른 여러 장르에서도 중요한 악기로 자리 잡았다. 리듬 앤 블루스(R&B) 음악에서 흔히 사용되며, 로큰롤과 현대 록 음악뿐만 아니라 아프리카계 미국 음악, 라틴 아메리카 음악, 아프로-카리브해 음악, 아프리카 음악 등 다양한 음악에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5. 4. 대중음악
미국 재즈에서 테너 색소폰이 두각을 나타내면서, 다른 여러 대중음악 장르에서도 중요한 악기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테너 색소폰은 리듬 앤 블루스(R&B) 음악에서 흔히 들을 수 있으며, 로큰롤과 현대 록 음악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아프리카계 미국 음악, 라틴 아메리카 음악, 아프로 카리브해 음악, 아프리카 음악 등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6. 저명한 테너 색소폰 연주자
테너 색소폰은 대중에게 주로 재즈 음악을 통해 알려졌다. 1930년대 Coleman Hawkins|콜먼 호킨스eng는 테너 색소폰을 재즈의 주요 악기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풍부하고 영향력 있는 연주 스타일은 많은 연주자에게 영향을 주었다. 호킨스의 연주와 대조적으로 Lester Young|레스터 영eng은 가볍고 유연한 연주 스타일을 선보였다.
비밥 시대에는 Woody Herman|우디 허먼eng 오케스트라의 '포 브라더스(Four Brothers)'와 같은 테너 색소폰 연주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Stan Getz|스탠 게츠eng는 보사노바 열풍 속에서 테너 색소폰 연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John Coltrane|존 콜트레인eng, Dexter Gordon|덱스터 고든eng, Sonny Rollins|소니 롤린스eng 역시 재즈 역사상 중요한 테너 색소폰 연주자로 평가받는다.
현대에 들어서도 테너 색소폰은 스무스 재즈 장르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Kirk Whalum|커크 웨일럼eng, Richard Elliot|리처드 엘리엇eng, Steve Cole|스티브 콜eng, Jessy J|제시 제이eng 등이 유명하다. 또한 잼 밴드 씬에서는 Ron Holloway|론 할로웨이eng나 Karl Denson|칼 덴슨eng과 같은 연주자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재즈 외에도 테너 색소폰은 R&B, 로큰롤, 록, 블랙 뮤직, 라틴 음악, 아프로-카리브 음악, 아프리카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JJA Jazz Awards 2014: 2013 JJA Jazz Awards Winners
http://www.jjajazzaw[...]
2015-02-13
[2]
웹사이트
https://discoverbrig[...]
[3]
웹사이트
https://m.belfasttel[...]
[4]
웹사이트
The "Number One Bill Clinton" Tenor Saxophone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2024-05-28
[5]
웹사이트
JJA Jazz Awards 2014: 2013 JJA Jazz Awards Winners
http://www.jjajazzaw[...]
2015-02-13
[6]
웹사이트
Adolphe Sax
http://www.basssax.c[...]
BassSax.com
2007-05-07
[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saxophone
http://www.the-saxop[...]
The-Saxophone.com
2008-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